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서브비쥬얼

공지/뉴스

뉴스뉴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2-04-07
제목 자재비 폭등에 전기공사업계 ‘빈사상태’
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지금은 관급 공사에서 번 돈으로 민수 공사현장의 적자를 메우고 있습니다" (W업체 대표)

"관급 공사는 에스컬레이션 제도라도 있지만 민간은 그런 안전장치 자체가 없죠. 자잿값이 1년 사이에 100% 올랐는데도 말이죠." (S업체 대표)

국제 원자재 시장이 출렁이면서 전기공사업계를 덮치고 있다. 구리, 철, 석유 등 주요 원자잿값이 모두 폭등하며 전기공사 자재 가격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에스컬레이션 제도가 있는 공공공사와 달리 민간공사는 여타 안전장치가 없어 기업이 가격 상승분을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 형편이다.

전선,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등 전기공사 주요 자재 가격은 모두 1년 새 기하급수적으로 올랐다. 이외에도 구리·철이 들어가는 자재와 석유화학자재는 현재 부르는 게 값이다.

서울 마포구에 있는 전기공사업 등록업체 대표는 "당장 전선, 케이블 트레이, 전선관 3개만 하더라도 1년 사이 100% 정도 올랐고 지금도 오르고 있다. 이 셋이 전체 공사비에서 차지하는 비중만 20% 정도 되는데 20%의 감당해야 할 비용이 두 배가 된 셈이다. 적자가 아니라면 그게 더 이상한 상황"이라고 사태의 심각성을 설명했다.

급격한 자잿값 변동은 국제 원자재 가격의 급등에서 시작됐다. 특히 구리가 심했다. 전선의 주요 원자재인 구리는 이미 지난 2020년도 하반기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 2021년 5월에는 영국 런던금속거래소(LME) 기준 t당 1만달러를 돌파하며 신고가를 경신했다. 이후 1년 가까이 지났지만 가격은 여전히 1만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철의 원료인 철광석도 사정은 비슷하다.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t당 200달러를 돌파하더니 현재도 150~160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석유 가격도 금값이다.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최근 배럴당 110달러를 넘어섰는데 이는 11년 만에 최고치다.

자재 가격이 올랐으면 그만큼 공사비에 반영을 해 계약을 하면 되지 않냐고 물을 수 있다. 그렇지만 건설 산업은 계약과 실제 집행 사이에 1년 이상의 시차가 있는 산업이다. 1~2년 전 당시 시가로 계약했다면 현재 가격이 급등했더라도 차액을 지원받기 어렵다.
 
<후략>
 
 
 
 
<전기신문> 2022년 03월 31일자
링크 #1 http://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2696
이전글
건설용 리프트카가 멈췄다...전국 500여개 건설현장 마비
다음글
원자재 쇼크…시공업체 ‘벼랑 끝’

목록